패턴을 깨는 패턴
안 좋은 패턴을 발견했을 때는 '패턴을 깨는 패턴'을 활용해보세요.
'내가 또 이랬구나' 하며 자책할 때가 종종 있습니다. 인지하는 계기는 다양합니다. 기분나빴던 일에 대한 일기를 쓰다가 문득 깨달을 때도 있고, 주니어를 멘토링해주다가 '그러는 나는 잘 하고 있나?' 하며 반성할 때도 있고, 동료로부터 뼈아픈 피드백을 받아서 어쩔 수 없이 직면할 때도 있죠.
저는 이렇게 몸에 익은 '안 좋은 패턴'을 맞닥뜨렸을 때 시도해보는 패턴이 있습니다. 일종의 셀프 코칭을 위한 질문 시퀀스인데, 패턴을 깨는 패턴이라고 볼 수도 있겠네요.
- 어떤 상황에서 어떤 행동패턴이 반복되었나?
- 과거에 비슷한 상황에서 이 패턴이 반복되지 않았던 경험이 있었나? 그건 언제였고, 어떤 경험이었지?
- 그 때는 뭐가 달랐길래 내가 다르게 행동했을까?
- 그러면 다음에 비슷한 상황에 처했을 때 의도적으로 어떤 다른 행동을 해볼 수 있을까?
- 그 상황에서 그 행동을 해야 한다는 것을 내가 어떻게 기억할 수 있을까?
예시
당장 어제도 이 질문들을 써먹을 일이 있었어요. 할 일이 많았는데 일요일에 하루종일 빈둥댔거든요.
- 반복된 행동: 데드라인이 정해진 일이 있을 때, 시간을 길게 확보해두면 오히려 빈둥빈둥 딴짓을 함
- 과거 달랐던 경험: 정확하게는 기억나진 않지만 내가 항상 이랬던 건 아님
- 뭐가 달랐나: 크게 두 가지.
- 일단 어떻게든 작게 시작을 했더니 재미가 생겨서 쭉 하게 됨.
- 다른 사람이 함께 있었음. 그 작업의 관계자와 함께 미팅 안에서 진전시키든, 그냥 지인과 함께 모각일(모여서 각자 일하기)하든.
- 다음에는: 내가 빈둥거리고 있다는 걸 인지하면 다른 사람 불러서 모각일 하자고 제안한다. 업무 쪼개기 훈련 하자고 한다.
- 기억하려면:
- 데드라인 정해지면 그로부터 며칠 앞서 캘린더로 일정 잡아두고 지인에게 도움 청하기
- 내가 이런 안좋은 습성이 있다는 걸 주변에 알리고 미리 도움 청하기. 내가 당신에게 뭐 같이 하자고 얘기할 수 있다
2에서 과거의 작은 성공 경험이 잘 떠오르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. 이 때는 크게 3가지를 시도해볼 수 있어요.
- 아주 조금이라도 더 낫게, 다르게 행동한 경험을 떠올려본다.
- 추상화해서 다른 비슷한 경험을 떠올려본다.
- 혼자서 잘 안 될 수 있으니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받는다.
단, 저는 이 '패턴을 깨는 패턴'을 활용할 때 '안 좋은 패턴'을 무조건 없애려고 하진 않습니다. 사실 세상에 무조건 안 좋은 건 없으니까요. 지금 내가 '안 좋다'고 생각하는 그 패턴이 지금까지의 나를 만들어줬고, 생존하게 해준 고마운 습관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. 그걸 부정하지 않고 인정하고, 적절히 이용하는 게 더 유리한 사고방식이라고 봅니다.
LLM 활용하기
셀프 코칭이 어렵다면 LLM에게 도움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. 저는 이렇게 프롬프트를 구성해놓고 도움 요청을 해요.
내가 특정한 상황에서 반복하는 '안 좋은' 행동 패턴을 맞닥뜨렸을 때 너에게 도움 요청을 할 거야. 다음과 같은 일련의 질문들로 나를 도와줄래?
1. 반복된 행동: 어떤 상황에서 어떤 행동패턴이 반복되었나?
2. 과거 달랐던 경험: 과거에 비슷한 상황에서 이 패턴이 반복되지 않았던 경험이 있었나? 그건 언제였고, 어떤 경험이었지?
3. 뭐가 달랐나: 뭐가 달랐나: 그 때는 뭐가 달랐길래 내가 다르게 행동했을까?
4. 다음에는: 그러면 다음에 비슷한 상황에 처했을 때 의도적으로 어떤 다른 행동을 해볼 수 있을까?
5. 기억하려면: 그 상황에서 그 행동을 해야 한다는 것을 내가 어떻게 기억할 수 있을까?
내가 2를 잘 떠올리지 못한다면 이런 것들을 제안해줘.
- 아주 조금이라도 더 낫게, 다르게 행동한 경험을 떠올려본다.
- 추상화해서 다른 비슷한 경험을 떠올려본다.
- 혼자서 잘 안 될 수 있으니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받는다.
단, 무조건적으로 안 좋은 패턴은 없다는 걸 강조해줘. 지금 내가 '안 좋다'고 생각하는 그 패턴이 지금까지의 나를 만들어줬고, 생존하게 해준 고마운 습관일 수도 있으니까. 그걸 부정하지 않고 인정하고, 적절히 이용하도록 도와줘.
예를 들어 Google AI Studio에서 System Instructions
에 위 프롬프트를 넣어놓고 대화하시면 이렇게 응답해줍니다.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한번 활용해보셔도 좋겠네요.

Member discussion